
탱고의 도시, 부에노스 아이레스
어떤 도시는 이미 많이 가본 것처럼 이미지와 풍경이 떠오른다. 부에노스 아이레스가 그렇다. 탱고의 발상지인 라 보카(La Boca) 지역, 알록달록한 색깔로 칠해진 그림같은 ‘원색의 거리’, ‘카미니토(Caminito) 거리, 왕자웨이(王家衛) 감독의 1997년 작 ‘해피 투게더’에 나오던 뒷골목의 풍경이 어우러지면 부에노스 아이레스는 현실보다는 문화, 예술, 영화 속의 도시처럼 다가온다.
“탱고의 발상지, 라보카(La Boca) 지역”
부에노스 아이레스는 탱고의 발생지로 알려졌지만 기원이나 변천에 대한 확실한 기록이 없다 보니 설에 머무는데 대개는 부에노스 아이레스 주변의 선착장, 라보카 바리오에서 나타났다고 본다. 그 항구를 드나들던 선원들이 1800년대 쿠바섬에서 유행하던 2/4박자의 가요조의 음악 하바네라를 전하였고, 거기에 부에노스 아이레스나 몬테비데오의 거리에서 연주되고 춤추던 칸돔베가 합하여져서 밀롱가가 파생하였는데 그 밀롱가의 변형된 음악이 탱고라고 알려져 있다. 이것이 세계적인 문화의 중심지였던 파리로 건너가 유행하고, 까를로스 가르델이 대중문화로 끄게 꽃을 피웠다. 그 탱고가 다시 아르헨티나로 건너와 발전하면서 피아졸라 등의 노력으로 오늘날 탱고는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수준 높은 탱고가 되었다고 한다.
한편 이 탱고 음악을 바탕으로 한 춤이 발전했다. 부두에서 일하던 노동자들이 일을 끝낸 후, 여성들을 유혹하기 위해 탱고 춤을 추면서 널리 퍼졌다. 여성을 유혹하기 위한 ‘본능적인 춤’이었기에 직설적인 유혹의 몸짓이 많이 들어가 있다. 그후 탱고 음악과 춤은 20세기 들어 여러 음악, 문학 무용가들의 노력에 의해 남미를 대표하는 예술로 발전하였다. 지금도 라 보카 지구에서는 거리 곳곳의 식당 사이에서 탱고 공연을 하고 있다. 굳이 탱고 춤을 찾아다니지 않아도 식당, 길거리, 광장, 공원 등 곳곳에서 목격할 수 있다. 산텔모 시장, 도레고 광장, 플로리다 거리 등에서도 볼 수 있는데 부에노스 아이레스 시민들에게 탱고는 생활이라 할 수 있다. 수준 높은 탱고 춤을 보고 싶다면 공연장이나 유명한 카페, 클럽 등으로 가면 된다.
라보카(La Boca)지구는 탱고와 함께 ‘원색의 거리’로 알려진 카미니토(Caminito) 거리로도 유명하다 가옥에 다채로운 원색을 칠해 알록달록 꾸며 놓은 그림 같은 골목길로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녹색 등 원색 계열의 색깔들이 건물 곳곳에 칠해져 있어서 관광객들이 눈길을 잡아 끈다.
“남미의 파리”
아르헨티나의 수도, 부에노스 아이레스는 남미 전역에서 손꼽히는 문화 예술의 중심지로 ’남미의 파리’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시내에 있는 콜론 극장(Teatro Colón)은 세계 3대 오페라 극장 가운데 하나로 손꼽히는 클래식 음악 공연장이며, 세계 정상급 음악인들의 연주회와 오페라 공연이 이루어진다. 시내 곳곳에는 유럽의 건축 양식이 남아메리카식으로 발전되어 독특한 형태의 건축물이 많이 보인다. 카사로사다, 콜론 극장, 대성당 등은 건축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이고 원색 페인트로 칠한 라보카의 집들도 부에노스아이레스 고유의 독특한 모습이다.
“부에노스 아이레스 돌아보기”
스페인어로 ‘좋은 공기’라는 뜻을 가진 이곳은 남미 대부분의 도시처럼 스페인의 식민지 수도로 발달한 계획도시로 아르헨티나의 인구 3분의 1인 1300만 명이 살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여러 개의 광장이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5월 광장(Plaza de Mayo)이다. 1810년 5월 25일은 아르헨티나가 스페인에 대해 독립을 선언한 날로 18세기초 아르헨티나 독립의 시발점이 된 5월 혁명을 비롯한 주요 사건이 모두 이곳에서 일어났다. 광장에 우뚝 선 기마상의 주인공은 독립운동의 영웅 마누엘벨 그라노 장군이다. 광장 주위에는 대통령궁 카사로사다, 부에노스 아이레스 대성당등 주요 명소가 있다. 붉은 벽돌로 지어진 대통령궁은 과거 에바 페론이 테라스에 나와서 국민을 설득하던 곳이고, 동남쪽으로는 탱고의 발상지로 알려진 라보카 지구가 있다. 레콜라타 지구는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부자들이 사는 곳으로, 역대 브라질 대통령 13명과 아르헨티나의 독립 영웅, 노벨상 수상자, 작가 등 유명인들이 잠들어 있는 공동 묘지(Recoleta Cemetery)가 있다. 이 곳의 4700여개의 묘지들은 아름답고 예술적인 조각 장식으로 꾸며져 있으며, 70개의 묘지가 국가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많은 묘지 중에 페론 전 대통령의 부인인 에바페론의 묘가 가장 눈길을 끈다. 세계적으로 가장 사랑받은 퍼스트 레이디답게 늘 많은 조문객이 오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넓은 도로라 불리는 7월 9일 거리(Avenida 9 de Julio)는 도로 폭이 140m에 달하는 거리다. 7월 9일은 아르헨티나 독립기념일, 1816년 7월 9일을 의미한다.